보건직 공무원 분야
- 내용 : 보건행정분야의 보건직 공무원은 공중보건학, 보건행정학, 의료관계법규, 건강보험론, 보건의료데이터관리, 의학용어, 해부생리학, 병리학 등 을 이수하여야 응시가 가능하다.
- 특성 : 보건직 공무원에 응시할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지도하며, 특히 국가고시 보건의료정보관리사(의무기록사), 위생사, 보건교육사의 면허 및 자격증이 있는 경우에 5%의 가산점을 부여받는다.
보건의료정보(의무기록)분야
- 내용 : 보건의료정보관리학, 질병 및 의료행위분류, 의학용어, 의무기록정보분석실무, 의료관계법규, 공중보건학, 병리학, 해부생리학, 보건의료정보관리학 보건의료통계, 건강보험론, 병원실습 및 기타 실무 분야 교과목 등 총 50학점 이상을 이수하여 보건의료정보관리사(의무기록사) 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중점 지도한다.
- 특성 : 의무기록 및 보건정보 관련 업무 실기 능력을 향상시켜, 종합병원 및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의무기록관리인, 보건정보관리인으로 종사할 수 있도록 중점 지도한다.
병원행정사 및 건강보험사 분야
- 내용 : 공중보건학, 해부생리학, 의학용어, 원무관리실무, 병원회계관리, 보건의료조직관리, 보건의료통계, 의료관계법규, 보건의료정보관리학, 건강보험론 등을 이수한다.
- 특성 : 모든 의료기관에서 병원행정 및 원무관리, 건강보험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실기 능력을 향상시켜 의료기관에서 병원행정사 및 건강보험사로 종사할 수 있도록 중점 지도한다.
보건교육사 분야
- 내용 : 보건교육학, 조사방법론, 보건의사소통, 의료관계법규 등을 이수한다.
- 특성 : 보건소의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업무, 금연상담자, 노인복지시설기관에서 건강교육 및 상담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중점 지도한다.
위생사 분야
- 내용 : 공중보건학, 의료관계법규 등을 이수한다.
- 특성 : 관공서 및 산업체에서 보건직 공무원, 공중위생감시원 등의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중점 지도한다.
병원코디네이터 분야
- 내용 : 병원경영학, 보건의료조직관리, 보건의료통계, 보건의료데이터관리, 병원코디네이터 및 실습, 의무기록 정보분석실무, 원무관리실무, 의학용어, 공중보건학, 의료관계법규, 건강보험론 등을 이수한다.
- 특성 :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위해 제공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리셉션 업무에서부터, 환자관리, 상담, 병원보조업무(접수, 수납), 병원마케팅(홍보)등의 업무와 의료진이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보건관리자를 양성한다.
간호조무사 분야
- 내용 : 의학용어, 해부생리학, 보건행정학, 의료관계법규, 기본간호학, 보건간호학, 공중보건학, 임상실습 및 환자간호 등을 이수한다.
- 특성 : 의료기관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인력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보건행정 뿐만이 아니라 간호업무도 수행할 수 있는 보건관리자를 양성한다. 산학연계를 통하여 보건행정과 교과과정을 이수하면서 동시에 간호조무사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